밴쿠버생활 3

(2024.02.20) 늦깎이 캐나다 대학원생의 인턴쉽 지원 후기

캐나다에서 대학원을 다닌지도 벌써 5년차다. 석사때도 인턴쉽을 한번 했었고, 박사과정 3년차인 최근에도 올해 여름과 가을학기를 위한 인턴쉽을 지원해본 경험을 공유해보자 한다. 캐나다에서 취업을 하는 루트는 크게 1. LinkedIn이나 Glassdoor등 온라인 job posting을 통해 지원 2. 지인을 통한 추천 3. (인턴쉽의 경우) 학교 co-op program을 통한 지원 이 있다. 이중에 합격 가능성이 가장 큰 것은 2 > 3 > 1 순이다. 이것도 한국과 크게 다른 부분이다. 한국에서는 학연, 지연을 통한 취업은 거의 범죄취급인데 반해, 북미에서는 오히려 가장 권장되는 루트이다. 심지어 지인을 통해 입사를 하게 되면 추천해준 직원도 약간의 커미션을 받기도 한다. 이는 이미 입사한 직원이 추..

[캐나다 대학원] 자주 받는 질문들 정리 #1

보잘것없고 두서없는 제 대학원 진학관련 글들을 정말 감사하게도 많은 분들이 읽어주셨습니다. 내용들이 좀 오래되서 업데이트를 해야하나 느끼고 있지만... 아무래도 작성 당시의 제 상황과 감정 등이 묻어있는지라 지금은 그냥 두려고 합니다. 그동안 정말 많은 분들이 댓글이나 이메일로 질문을 주셨습니다. 제 지난 글들을 업데이트 하는 대신 가장 많이 받은 질문들과 답변을 올려보고자 합니다. 대학원 지원 관련 1. 통계/CS 대학원 지원시에 전공이 상관있나요? 학부전공은 크게 상관없습니다. 보통 공학, 자연과학같은 이과계열이나 경제학같이 수학을 많이 쓰는 학과 출신이면 됩니다. 저희 대학원에도 물리학, 천체물리학, 수학, CS 등등 다양한 출신들이 있습니다. 여기에도 해당되지 않는다면, 어찌해서 입학하더라도 대학..

(2021.10.30) 석사 끝 + 박사과정 첫학기 근황

무사히 석사과정을 끝내고 박사과정 첫학기에 돌입했다. 그동안 정말 너무나도 많은 일이 있었는데, 그걸 여기 다 담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석사논문 defense, 성공적 내 석사논문 제목은 Q-learning with online trees 이다. Q-learning은 보통 DNN과 experience replay를 엮어서 Deep Q-network 라는 알고리즘으로 사용한다. Deepmind가 Atari를 깰 때 이 방법으로 했었다. 난 일개 석사생이었으므로 Deepmind 레벨의 뭔가를 하진 못하고... 대신 Q-learning과 online random forest + experience replay를 합쳐서 알고리즘을 만들어봤다. 석사과정 내내 관심이 많이 갔던 강화학습이지만, 막상 내 논문주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