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생활 4

[2025.02.14] 요즘 캐나다 BC주 + 내 근황

캐나다, 더 정확히는 BC주도 내가 처음 올 때 (2019년 8~9월)와는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특히 많이 체감되는건 아무래도 기후변화이다.내가 살고있는 BC주의 밴쿠버는 원래 겨울이 그리 춥지 않다. 추워봐야 영상 5도 정도로 캐나다 치고 꽤 따뜻한 편이었다. 그러다보니 눈보단 비가 더 많이오고, 겨울에 하도 비가 많이 와서 '레인쿠버'라는 별명도 가지고있다. 적어도 작년까지는 그 말이 맞았다. 하지만 올해는 비가 거의 안왔다. 오히려 화창한 날이 많았고, 심지어 1~2월에는 눈오는날이 더 많았을 정도다. 이래도 괜찮나 싶을정도로. 기온도 영하 7도까지 떨어져서 한국에서나 입던 두터운 패딩을 다시 꺼내고 장갑까지 끼고다닐 지경이다.  또다른 큰 변화는 역시 job market이다.원래 연초쯤에 여름 ..

일상 2025.02.15

(2024.02.20) 늦깎이 캐나다 대학원생의 인턴쉽 지원 후기

캐나다에서 대학원을 다닌지도 벌써 5년차다. 석사때도 인턴쉽을 한번 했었고, 박사과정 3년차인 최근에도 올해 여름과 가을학기를 위한 인턴쉽을 지원해본 경험을 공유해보자 한다. 캐나다에서 취업을 하는 루트는 크게 1. LinkedIn이나 Glassdoor등 온라인 job posting을 통해 지원 2. 지인을 통한 추천 3. (인턴쉽의 경우) 학교 co-op program을 통한 지원 이 있다. 이중에 합격 가능성이 가장 큰 것은 2 > 3 > 1 순이다. 이것도 한국과 크게 다른 부분이다. 한국에서는 학연, 지연을 통한 취업은 거의 범죄취급인데 반해, 북미에서는 오히려 가장 권장되는 루트이다. 심지어 지인을 통해 입사를 하게 되면 추천해준 직원도 약간의 커미션을 받기도 한다. 이는 이미 입사한 직원이 추..

(2021.10.30) 석사 끝 + 박사과정 첫학기 근황

무사히 석사과정을 끝내고 박사과정 첫학기에 돌입했다. 그동안 정말 너무나도 많은 일이 있었는데, 그걸 여기 다 담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석사논문 defense, 성공적 내 석사논문 제목은 Q-learning with online trees 이다. Q-learning은 보통 DNN과 experience replay를 엮어서 Deep Q-network 라는 알고리즘으로 사용한다. Deepmind가 Atari를 깰 때 이 방법으로 했었다. 난 일개 석사생이었으므로 Deepmind 레벨의 뭔가를 하진 못하고... 대신 Q-learning과 online random forest + experience replay를 합쳐서 알고리즘을 만들어봤다. 석사과정 내내 관심이 많이 갔던 강화학습이지만, 막상 내 논문주제가..

[캐나다 대학원] 입학 후 한달반 간 생활하면서 느낀 점

이제 캐나다에 온지도 어느덧 두달이 다되어 간다. 벌써 다음주면 중간고사 기간이다. 과제에 치여 살다가 오랜만에 살짝 여유가 생긴 틈을 타 글을 남겨본다. # 역시 적막하고 고요하다. 가장 많이 느낀 부분이다. 거의 모든 상점이 오후 7시면 닫고, 큰 도시의 도심이 아니면 밤늦게까지 여는 식당을 찾기가 힘들다. 심지어 술집들도 1~2시가 안되어 거의 다 닫는다고 하더라. 특히 주말이면 더 빨리 닫는 상점들이 대부분. 이때문에 처음 몇주간은 너무 심심했다. 하지만 이젠 익숙해졌는지 크게 아쉽다고 느껴지지는 않는다. # 운동을 정말 많이한다. 물론 한국에도 열심히 운동하는 학생들이 많지만 여기 학생들이 운동하는 비율이 훨씬 높은 것 같다. 특히 우리나라 같으면 운동을 안하는 애들은 정말 그 어떠한 운동도 하..